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모주

공모주 청약 시 배정수량 산정 방법 (균등배정, 비례배정)

by neve 2021. 5. 2.

본 글을 통해서 개인투자자가 공모주를 청약할 경우 증권사에서 배정방식 별 주식 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 공모주 배정 방식 개요
  • 균등배정 방식
  • 비례 배정 방식
  • 예시를 통한 공모주 배정 시뮬레이션

공모주 배정 방식 개요

공모주는 기업이 주식시장에 신규로 상장을 할 경우 이 주식을 공개적으로 발행하고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는 것이다. 가장 최근 SKIET를 비롯하여, SK바이오사이언스, 카카오게임즈, 빅히트 등 대기업의 상장 시에는 청약 열기가 뜨겁다. 그 이유는 공모주를 시장에 상장할 가격을 구할 때 초기 투자자에게 이점을 부여하기 위해, 적정가치 대비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20년까지는 투자자별 투자한 금액(공모신청금액)에 비례하여 공모주를 배분하였다. 

하지만 '21년 부터는, 투자자금이 부족한 투자자에게도 공모주를 배정받을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균등배정/비례배정 방식을 혼합하여 주식을 배정하고 있다.

 

균등배정 방식

균등배정은 말 그대로 공모주 청약한 투자자에게 얼마를 투자했던 금액에 무관하게 동일한 주식 수를 배정하는 방식이다. '21년 제도가 개편된 내용으로, 어느 정도 골고루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방식이다. 현재 최소 청약 주식 수는 '10주'이므로, 10주만 청약하면 균등배정으로 주식을 부여받을 수 있다. 

 

다만 증권사별 청약에 참가한 투자자 수가 균등배정 대상 주식 수보다 많을 경우, 추첨에 의해 균등배정 받을 투자자를 뽑으므로 배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 

 

비례 배정 방식

비례 배정은 기존 공모주 배정 방식으로, 투자자 별 청약한 금액에 비례하여, 배정받을 주식 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위 균등배정 방식에서는 '10주'만 청약한 투자자도 배정받을 수 있던 것에 비해, 비례 배정 방식으로 10주만 청약할 경우 배정받을 방식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예시를 통한 공모주 배정 시뮬레이션

예시) 가, 나 증권사를 통해 공모주를 진행한 SKIET(증거금 주당 52,500원)에 청약한 A, B 투자자의 청약 수량 별 배정 물량

  • 가, 나 증권사 별 배정 수량
    • 총수량 : 20,000주
    • 비례 배정 수량 : 10,000주 (비례/배정물량은 전체 물량 중 50%)
    • 균등배정 수량 : 10,000주
  • A, B 투자자의 증권사별 청약금액
    • A투자자 : 가 증권사 10주, 나 증권사 10주 청약 (총 필요 증거금 1,050,000원)
    • B투자자 : 가 증권사에만 200주 청약(총 필요 증거금 10,500,000원)
  • 청약 참가 투자자 수 및 경쟁률
    • 참가 투자자 수 : 가, 나 증권사 각 10,000명
    • 비례배정 경쟁률 : 가, 나 증권사 각 1000 : 1

▶ 배정 시뮬레이션

공모주-배정-예시-시뮬레이션
공모주 배정 시뮬레이션

공모주 배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균등배정/비례배정에 따른 배정물량을 확인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