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메타버스 뜻, 개념, 게임과 다른점)

by neve 2022. 2. 13.

아래는 메타버스를 영화로 만든 대표작, '레디 플레이어 원'의 한 장면입니다. 영화 주인공인 웨이드는 현실에서는 가난한 빈민촌 출신이지만, 가상세계에서는 일류 모험가입니다.

레디플레이어원 영화 장면
레디플레이어원 영화 장면

 

웨이드는 가상세계 오아시스에서 돈을 벌어서, 현실에서 생활을 합니다. 부단 웨이드뿐 아니라, 레디 플레이어 원 속의 경제활동은 오아시스에서 이루어집니다.

 

앞으로는 메타버스의 세계라는 얘기를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 메타버스는 무엇이고, 실체가 무엇인지, 도대체 게임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미래의 메타버스는 어떻게 발전해나갈지 살펴보시죠.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메타버스의 뜻과 개념, 게임과의 차이점 정리.

 

1. 메타버스 뜻과 개념

2. 메타버스와 게임의 차이점

3. 메타버스 미래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메타버스의 뜻과 개념, 게임과의 차이점

 

메타버스의 개념, 의미, 그리고 게임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이로부터 앞으로 미래의 메타버스는 어떠한 모습일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본 글을 읽은 사람이 열람한 다른 글]

☞ 국세 환급금 신청 및 조회 방법 (링크 포함)

☞ 자동차세 줄이는 2가지 방법 정리

 

메타버스 뜻과 개념

메타버스는 한 마디로 가상세계를 의미합니다. 현실과는 다른, 하지만 현실세계와도 이어져있는, 수많은(Meta) 가상세계(Verse)죠.

 

가령, BTS가 신곡 다이너마이트를 처음 공개한 곳은 음악프로그램도, 뮤직 어플도 아닌 가상세계입니다. '포트 나이트'라는 가상세계에서 BTS는 자신들의 캐릭터로 신곡을 발표했고, BTS의 팬들도 '포트 나이트'에서 팬들 개개인들의 캐릭터로 접속해 신곡 발표회를 함께했습니다.

 

부단, BTS뿐 아니라, 트와이스는 또 다른 가상세계 '제페토'에서 콘서트를 열었습니다. 부단 가수의 활동영역만 메타버스로 확장한 것은 아닙니다.

 

순천향대는 대학 입학식을 메타버스 가상세계에서 진행했고, 직방은 전 직원 근무를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폴리스'로 전환했습니다. 이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출근을 하고, 정해진 자리에서 근무를 하고, 회의실에 모여서 빔프로젝트를 보며 회의를 하죠.

 

메타버스 출근한 모습
메타버스 출근 (출처 : 네이트 뉴스)

 

하지만, 가상세계는 도무지 기존 게임과 비슷해 보이는 것도 사실이죠. 게임이라는 가상세계에서 나의 캐릭터를 만들고, 이를 키우고, 뽐내는 행위를 하는 것이 메타버스와 동일한 것도 사실이니까요.

 

 


 

메타버스와 게임의 차이점

메타버스와 게임은 많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3가지 차이점도 있죠.

 

 

① 경제 활동

메타버스와 게임의 가장 큰 차이점은 경제활동입니다.

 

게임 속의 캐릭터는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캐릭터를 성장시키고, 강하게 만들고, 이로부터 희열을 느껴서 게임을 하게 되죠.

 

메타버스 가상세계 속의 '나'는 경제활동도 합니다.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 속에서 의상을 제작하고, 이를 판매점에 진열하고, 고객을 모집해 판매를 해서 돈을 버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게임 속의 직업이 아니라, 진짜 이 사람들의 직업이 제페토 의류 제작인 것입니다.

 

그리고 직방의 메타폴리스로 출근하는 사람은, 실제 직장생활이라는 경제활동을 메타버스 세계 속에서 하는 것이죠. 그리고 학생들은 가상세계 속에서 입학식을 하고, 수업을 듣습니다. 이는 기존 게임에서 볼 수 없던 모습이죠.

 

② 콘텐츠 제작

경제활동과 비슷한 차이점이죠. 예를 들었던 제페토에서 '의류'라는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그리고 로블록스는 또 다른 개념으로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로블록스에서는 가상세계 속에서 게임, 맵을 제작 하죠. 내가 만든 맵, 게임에 로블록스 이용자가 접속하려면, 로블록스에서 통용되는 화폐인 '로벅스'를 지불해야 합니다. 로블록스에서 맵을 만든 콘텐츠 제작자는 유저들이 지불한 로벅스를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죠.

 

이것도 게임에서 아이템 거래하던 것과 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다릅니다. 게임 속의 아이템은 게임을 하면서 얻은 부산물입니다. 게임사는 이 게임 아이템의 현금화를 불법행위로 단정 짓고 억제합니다. 현금화가 많아지면, 해당 게임 속의 아이템 및 게임머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메타버스에서는 이런 콘텐츠 제작을 장려하고, 이것도 메타버스 플랫폼의 주요 수익원입니다.

제페토 콘텐츠 제작
제페토 콘텐츠 제작

 

이미 제페토에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유저는 150만 명이고, 이들은 2억 명의 제페토 유저들에게 콘텐츠를 판매합니다. 분명 게임과는 다른 형태의 모습이죠.

 

 

③ 자유도

자유도는 게임 속에서도 존재하는 개념입니다. 게임 속에서 게임 필드를 누비며, 게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죠. 하지만 메타버스는 더 발전했습니다.

 

일단 캐릭터를 꾸미는 데 있어, 게임과는 다른 차원이죠. 나와 비슷한 모습으로 내 캐릭터를 꾸밀 수 있고, 내가 원하는 액세서리, 브랜드 가방 등 현실의 모습을 최대한 반영한 진정한 나의 부캐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콘텐츠도 마찬가지죠. 게임 속의 콘텐츠는 게임 제작사가 만들어놓은, 정해진 틀에서 이루어지는데 비해, 메타버스 속의 콘텐츠는 무궁무진합니다. 부단 게임 제작사 홀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죠. 제작사, 크리에이터, 유저들이 서로 소통하며 만들어가는 세상입니다.

 

 


 

 

메타버스 미래

그렇다면 메타버스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메타버스의 이상향에 점점 다가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1. 시각적으로 현실을 완벽히 반영한 3D 세상.
  2. 현실과 동일한 촉각, 후각, 통각, 촉각 등의 감각.
  3. 이동, 움직임을 완벽히 반영하는 AR, VR.

 

페이스북에서 먼저 완벽한 메타버스 3D 세상 구현을 위해, 페이스북 호라이즌 론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3D 고글 업체인 오큘러스를 인수하고, 회사의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메타버스에 집중하고 있죠. 사명을 메타로 바꿀 정도로 말입니다.

페이스북 호라이즌
페이스북 호라이즌

 

그리고 하나의 메타버스 플랫폼만 독식하기보다는, 각 메타버스 플랫폼이 각자의 특징을 가지고 공존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가령, 나의 직장생활 부케는 페이스북 호라이즌에 접속해, 출근하고, 사람들을 만나고, 회의를 합니다. 그리고 퇴근 후에는 제페토에 접속해 내가 원하는 옷과 가방을 들고 친구들을 만나죠. 그리고 여가생활은 로블록스에 접속해 내가 원하는 액티브한 활동을 하는 등의 방식으로 말입니다.

 

 

 

 


 

 

맺음말

메타버스의 뜻과 개념, 게임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이로부터 메타버스의 미래도 전망해봤습니다.

 

  • 메타버스는 무한한 가상세계를 의미함.
  • 게임과는 경제활동, 콘텐츠 제작, 자유도에 있어 차이가 있음.
  • 미래의 메타버스는 현실의 감각 및 움직임을 최대한 반영하여 현실 그대로를 반영.
  • 각 메타버스 플랫폼이 각자의 특징을 살려 공존.

 

[본 글을 읽은 사람이 열람한 다른 글]

☞ 국세 환급금 신청 및 조회 방법 (링크 포함)

☞ 자동차세 줄이는 2가지 방법 정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