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을 통해서 코스닥 상장사 대원산업의 주가 수준을 파악하고,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향후 도달 가능한 적정 주가를 전망한다.
- 기업 개요 및 현황
- 장점 분석
- 단점 분석
- 적정 주가 전망
기업 개요 및 현황
- 사업 분야 : 자동차 시트 생산, 납품, 판매 (주요 차종은 기아 카니발)
- 시가총액 : 1,645억원
- '20년 결산 재무제표
지표('20년) | 수치 |
매출(연간) | 6,426억원 |
영업이익 | 281억원 |
당기순이익 | 181억원 |
PER | 9.1 |
장점 분석
1. 카니발 판매량 증가
- '20,9월 4세대 카니발 출시 후 판매량 증가 및 매출 대폭 성장
- '21.2월 북미지역 카니발 출시(4월부터 판매 본격화 예정), '21년 하반기 중국 출시 예정
[카니발 판매량]
구분 | '20.1Q | '20.2Q | '20.3Q | '20.4Q | '21.1Q |
내수 | 9,041 | 8,290 | 17,871 | 28,993 | 23,716 |
수출 | 5,553 | 8,188 | 2,945 | 2,718 | 12,825 |
합계 | 15,594 | 16,478 | 20,816 | 31,711 | 36,541 |
[매출 추이]
2. 뛰어난 재무제표, 특히 현금 보유
- '20.4Q 기준 현금과 단기금융상품, 단기매출채권을 합친 유동성 현금자산 3,245억원 보유
- 이 수치에서 유동부채 총액(1,440억원)을 빼면, 1,805억원이 현금성 안전마진
- 이는 시가총액을 상회하는 수치, 즉 이 기업을 현 주가로 인수하면, 단기 현금자산 만으로 부채를 갚아도 이득을 볼 수 있음
3. 베트남 계열사의 성장
- 베트남 현지에서 현대차 자동차 시트 납품 중
- 현지에서 현대차의 인기는 일본 자동차 회사를 제치고 1등을 유지
- 이로 인해 대원산업 베트남 계열사도 성장
구분 | '19 | '20 | 성장률 |
매출(억원) | 120 | 327 | +173% |
당기순이익(억원 | 37 | 64 | +73% |
4. 평균 거래량 상승으로 보여지는 투자자들의 관심
- 지난 3세대 카니발 출시('13년도) 이후 지지부진한 주가 흐름
- 하지만 4세대 카니발 출시 이후 '20.4Q 실적 성장과 함께 거래량 폭발 & 주가 상승
5. 아직 저평가 상태의 주가 수준
- '20년도 재무결산 기준의 현재 PER은 9.1
- 하지만 4세대 판매량으로 본격적으로 매출이 성장한 '20.4Q와 비교 필요
- 그러면 아직 PER이 2 정도인 저평가 상태
단점 분석
1. 러시아/중국 등 해외 계열사 실적 부진
- 러시아 계열사는 판매량 저조보다는, 지속적인 러시아 화폐 가치 하락으로 환차손 발생하며 실적 하락
다만, 최근 들어 유가상승과 함께 루블화의 가치가 상승 시도 중
- 중국 계열사는 사드 이후 반한 감정과 함께 계속 실적이 낮아지고 있음. 하지만 더 나빠지기는 힘든 상태이며, 올해 예정된 카니발 중국 출시로 현지의 미니밴 시장을 공략하면 상승 곡선으로 전환할 수도 있음
2. 차량용 반도체 공급 악화
- 전세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의 공급망 악화로, 각지의 자동차 제조사들의 판매에 이슈 발생
- 현대 및 기아는 현재 큰 타격은 없지만, 앞으로 상황이 계속 악화된다면 카니발에도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
- 다만, 카니발은 신규 모델이 출시된 지 얼마 안 되었고, 판매량 1~2등을 기록하는 우수 모델로, 생산 감축에 있어 후순위일 것으로 예상
적정 주가 전망
1. 올해 1년 실적은 국내 카니발의 판매 호조 지속과 북미/중국 등 해외 판매량 확대로 작년 4분기 실적을 매분기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
- 주당순이익(EPS) = 1,075(20.4Q 수치) * 4 = 4,300원
2. 현대공업(동종업계 현대차 시트 공급사) 수준의 가치를 시장에서 언젠가 매겨줄 것으로 가정
- PER : 12
3. 적정 주가 전망
- 1 * 2 = 4,300 * 12 = 51,600원
댓글